2023년 발바닥통증 – 근저족막염, 족저근막염 총정리 증상 치료 깔창고르는법

발바닥 통증 – 일명 근저족막염, 족저근막염이라 부르는 이증상은 오래 서서 일하는 직업을 가진 분들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증상으로 인해 병원을 찾고 깔창이나 스트레칭 등을 하고 계십니다 여기서는 족저근막염 총정리를 통해 증상과 예방, 치료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발목인대가 다쳤다면? – MBO의 모든것

족저근막염 총정리 정의

발바닥에는 족저근막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종골이라는 발뒷꿈치 뼈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쪽까지 5개의 가지를 내어 발바닥 앞쪽에 붙어 있는 두껍고 강한 띠를 말합니다. 이는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등 발을 보호하고 보행을 돕는 역활을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족저근막이 미세한 손상 및 자극이 계속되어 염증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족저근막염 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족저근막이 4mm이상 두꺼워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를 회복시키는 것이 치료의 과정입니다.

족저근막염 총정리

족저근막염 총정리 – 증상

족저근막염에는 다양한 증상이 있습니다. 그러나 특증적인 증상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아침에 일어나 처음 발을 디뎠을 때 느껴지는 심한 통증 입니다. 또는 휴식 후 걷게 될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는 아킬레스건염과 비교되는 증상입니다. (아킬레스건염의 경우 계속 움직이면 아프고 좀 쉬면 괜찮아짐)

이외에 다른 증상을 알아 보겠습니다.

  • 발뒷꿈치 전체 혹은 발 안쪽부위의 통증이 느껴집니다.
  • 발에 체중이 실릴때 통증이 느껴집니다.
  • 아침에 첫 발을 내디딜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 만성화가 되면 앞꿈치에 체중을 싣고 다니기도 합니다.
  •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구부릴 때 통증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 가만히 있으면 통증이 줄어들지만 움직이기 시작하면 통증이 발생합니다.
  • 장기간 서 있거나 급격히 체중이 늘어난 경우, 오목발, 평발등은 더욱더 쉽게 발병합니다.

통증 호발부위

족저근막염 총저리

족저근막염 총정리 – 예방 및 치료

예방 및 치료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보존적 치료 – 원인제거
  • 스트레칭
  • 보조기
  • 진통제
  • 스테로이드 주사 – 자주 사용시 오히려 족저근막의 급성 파열의 위험
  • 체외충격파 – ESWT
  • 수술적치료 – 족저근막 절개술

많은 치료법이 있지만 일상 생활에서 적용 될 수 있는 스트레칭과 깔창 선택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스트레칭

스트레칭의 경우 통증감소헤 효과적인 대표적인 치료법입니다. 아침에 기상 후 걷기 전, 오랜 시간 휴식 후 시행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스트레칭 시행시 1회 15초 정도 유지하고 한번 하실때 3~4회 정도 진행합니다.

한 손으로 발 뒷꿈치를 잡은 상태에서 반대 손으로 발가락을 잡고 몸쪽 방향으로 당겨 줍니다.

아픈 발바닥에 병이나 캔을 대고 뒷꿈치에서 중심까지 왔다 갔다 하면서 마사지를 합니다 한번 하실떄 3~5분 정도 마사지를 하면서 반복합니다. 얼린 깡통으로 진행하면 더 좋습니다.

아픈 발을 뒤에 대고 뒷꿈치는 바닥에 붙인 후 벽쪽으로 기대면서 장딴지가 당기는 느낌이 나도록 스트레칭을 해줍니다. 이와 같은 자세를 10~15초 간 3회 반복합니다.

바닥에 앉아 아픈 발을 쭉 뻗습니다. 그 후 타월을 걸고 몸쪽으로 잡아당기며 15~30초 정도 유지하며 3회 반복합니다.

깔창 고르기

잘못된 깔창을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족저근막염을 발생 시킬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깔창을 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면 적절한 깔창을 고르는데 중요한 사항을 알아 보겠습니다.

1. 아치형 구조의 깔창

발은 우리 몸에 오는 충격에 대해 보호하고 흡수하는 역활을 합니다. 발은 우리 몸무게의 2%밖에 안되는데 그 작은 중량으로 98%의 중량무하를 견디기 위해서는 무게의 분산은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그과정에서 아치형의 발은 매우 훌륭한 형태 입니다.. 그이유는 아치형이 충격을 흡수하기에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깔창을 구할때 반드시 아치형을 구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패드 충격흡수기

두번째로는 뒷꿈치 패드가 중요합니다. 이유는 발바닥의 하중의 60%는 뒤로 가해집니다. 따라서 후족부의 스트레스가 더 심합니다. 즉 뒷꿈치 부분에 적절한 패드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중에서도 겔구조가 가장 좋습니다.

겔은 99%가 액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격 흡수성, 신축성 등이 매우 뛰어납니다. 많은 유명 스포츠 브랜드에서도 갤 구조의 후방패드를 구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패드 관련 인용한 사이트 – 바로가기

족저근막염 총정리 – 결론

족저근막염은 제대로된 스트레칭 없이 자주 많이 사용하는 경우 쉽게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등은 꾸준한 스트레칭과 적절한 깔창을 사용하는 것 만으로도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 다만 증상에 따라 아킬레스건염과 혼동 될수 있으니 잘 확인해야합니다.